주방 쓰레기 처리 장치는 수처리 시설에 도달하는 유기 탄소의 부하를 증가시키며, 이는 결국 산소 소비를 증가시킵니다. Metcalf와 Eddy는 이 영향을 디스포저를 사용하는 경우 하루에 1인당 0.04파운드(18g)의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으로 정량화했습니다.] 수명 주기 평가를 통해 싱크대 내 식품 가공을 퇴비화 대안과 비교한 호주 연구에서는 싱크대 내 분쇄기는 기후 변화, 산성화 및 에너지 사용과 관련하여 우수한 성능을 발휘했으며 부영양화 및 독성 가능성에 기여했습니다.
이로 인해 2차 작업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비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폐수 처리를 정밀하게 제어하면 해당 과정에서 탄소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유기 탄소가 박테리아 분해를 계속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증가된 탄소는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에 필요한 저렴하고 지속적인 탄소 공급원 역할을 합니다.
한 가지 결과는 폐수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고형 잔류물의 양이 더 많다는 것입니다. EPA가 자금을 지원하는 East Bay Municipal Utility District의 폐수 처리장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는 도시 하수 슬러지보다 3배 더 많은 바이오가스를 생성합니다. 음식물 쓰레기의 혐기성 소화로 생성된 바이오가스의 가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및 잔류 바이오 고형물 처리 비용을 초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연간 대량 음식물 쓰레기 8,000톤을 전환하려는 LAX 공항 제안에 근거).
로스앤젤레스의 Hyperion 하수 처리장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디스포저 사용은 하수 처리로 인한 전체 바이오 고형물 부산물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거나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찬가지로 음식물 쓰레기의 높은 휘발성 고형물 파괴(VSD)가 최소로 발생하므로 취급 공정에도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잔류물에 있는 고형물의 양.
전력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전기 다리미와 비슷한 500~1,500W이지만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사용되며 가구당 연간 총 전력량은 약 3~4kWh입니다.] 일일 물 사용량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1 US 갤런(3.8 L) 하루에 1인당 물의 양은 화장실 물을 추가로 내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러한 식품 가공 시설에 대한 한 조사에서는 가정용 물 사용량이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시 시간: 2023년 2월 7일